전체 글 (47) 썸네일형 리스트형 결국 상속 구조를 포기 하기까지. (상속 구조 사용시 주의점) A. 상속을 사용 했던 이유.현재 프로젝트에서 사용자는 3가지 종류(체크인 요청, 줄서기 요청, 기타 요청)의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이 요청들은 조금 다른 점도 있었지만 대부분이 중복되는 필드와 매서드였습니다.그래서 이들은 is-a 관계라고 생각해서 상속으로 구현하였습니다.조회를 할 때도 이들을 Help 라는 부모로 묶어서 다형성을 통해 전체를 조회할 수도 있었기에 상속의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괜찮은 선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요약하자면 '코드 재사용'과 '다형성 활용'을 위해서 상속을 사용하였습니다. B. 객체지향에서 상속을 사용하기 애매한 이유. 상속은 객체지향에서 아이러니한 위치에 있는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처음 자바와 객체지향을 배울 때는 객체지향의 4가지 특징 중 하나로 배울만큼 상속은 주요 기.. Stub 사용기 (런던파 vs. 고전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며 Fixture들을 만들 때 실제 값을 사용 못하기에 Test Double을 사용해야 하는 때도 있습니다. JUnit + Mockito 조합으로 하는 테스트에 익숙하다 보니 처음에는 모킹을 위주로 유닛 테스트를 작성하였습니다. 그렇지만 과연 모킹이 실제 동작을 보장할 수 있을까 항상 고민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간혹 유닛 테스트와 함께 통합 테스트를 작성하거나 통합 테스트만 작성하려고 하던 시기도 있었습니다. 모킹을 하거나 스텁 클래스를 사용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스터빙 해보고 또 고민해 본 현재 사용하는 방식까지의 여정을 관련 내용과 함께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A. Test Double 이란 우선 테스트 더블(Test Double)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Test D.. 나에게 맞는 Fixture 생성법을 찾는 여정 A. Fixture란. Fixture는 테스트가 실행하는 환경을 위해 필요한 설정을 완료해 주는 것입니다.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는 테스트에 쓰일 수 있도록 필요한 환경과 설정을 완료 해 준 객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Fixture 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만 쓰이지 않고 회로나 디바이스 테스트에서도 쓰이며 전기 신호를 일정하게 컨트롤 하거나 물리적 장치를 고정하는 용도로 쓰이는 것을 말합니다. 즉, 테스트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Fixture는 Test Double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실제 값을 가진 객체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목에서 실제 값을 가진 객체를 이용하는 방법까지의 개인적인 여정을 다뤘습니다. Fixture를 셋업하는 방식은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I.. 이전 1 2 3 4 5 6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