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7) 썸네일형 리스트형 JPA Basic - 영속성 관리 1. 영속성 컨텍스트 ◍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 ○ EntityManager.persist(entity); ◍ 눈에 보이지 않는다. ◍ 엔티티 매니저를 통해서 영속성 컨택스트에 접근(1:1) ◍ J2EE, 스프링 프레임워크 같은 컨테이너 환경.(앤티티 매니저 : 영속성 컨텍스트가 N:1) ◍ 엔터티 생명주기 ○ 비영속(new/transient): 영속성 컨텍스트와 전혀 관계 없는 새로운 상태 ○ 영속(managed): 영속성 컨텍스트에 관리되는 상태 ○ 준영속(detached):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되었다가 분리된 상태 ○ 삭제(removed): 삭제된 상태 // 객체를 생성한 상태(비영속) Meme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Id("member1"); m.. JPA Basic - Intro 1. Intro. 1. JPA 공부가 어려운 이유 객체와 테이블을 제대로 설계하고 매핑하는 방법을 알려주지 않는다. 1:N, N:1, 1:1, N:M 매핑등의 개념이 난이도 있다. 실무 노하우 + 성능에 대해서 알려주지 않는다. 2. JPA가 실무 사용이 어려운 이유. JPA의 내부 동작 방식 이해 못해서 JPA가 어떤 SQL을 만들어 내는지 이해하지 못함. JPA가 언제 SQL을 만들어 내는지 이해하지 못함. 3. SQL 중심의 개발의 문제점. 개발자는 객체를 RDB에 저장하게 됨. 객체와 RDB의 차이가 있음. 상속 : RDB에서는 JOIN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고 그 과정은 매우 복잡. 연관관계: 객체는 참조를 사용/ 테이블은 외래키를 사용 -> 객체를 테이블에 맞추어서 저장. 근데 객체는 Long이.. 자바빈(JavaBeans) 규약 자바빈 규약 사용이유 자바빈은 비주얼 툴에서 조작하는 컴포넌트 였지만 웹기반 엔터프라이즈 플랫폼이 등장하며 인기 시들해져 가게 됨. 그러나 이 규약을 사용하는 오픈 소스 기술들에 의해 계속 사용 되어 옴. 특히 jsp에서 객체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 그리고 서블릿을 사용하는 것보다 불필요한 코드를 만들지 않아도 되고 프론트에서 백앤드의 기능을 만들지 않아도 되게 되어 프론트와 백앤드를 분리하여 관리 할 수 있다. 용어 프로퍼티(property): 객체의 속성 필드(field, 맴버변수): 객체의 실제 값. ex> 클래스는 어떠한 프로퍼티들을 가지고 있는 객체이고 필드는 getter/setter의 대상이 되는 클래스의 변수나 상수이다. 자바빈 규약. -1. 기본 생성자를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오버라.. 이전 1 ··· 12 13 14 15 16 다음